본문 바로가기
일상소식

보이스피싱 문자 피해자

by godmulzu 2022. 6. 20.
반응형

몇 년 전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큰 범죄
보이스피싱은 해마다 악랄한 수법으로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정보가 쉽게 노출되는 지금 우리가 예방법 그리고 이유를 알지 못한다면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피해금액)’21년 보이스피싱(계좌이체형) 피해금액은 총 1,682억 원으로 전년(2,353억 원) 대비 671억 원(△28.5%) 감소

’ 19년 이후 코로나19로 인한 사기 활동 위축 등으로 피해금액은 대폭 감소한 가운데 ’ 21년 감소율(△28.5%)은 전년(△65.0%) 대비 둔화

다만, 최근 메신저 피싱 피해가 급증하고, 코로나19 등 사회적 관심사를 이용한 신종 사기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지속적인 피해예방 노력 필요

(환급률 및 피해자 수) 피해금액 중 603억 원이 피해자에게 환급되어 환급률(환급액/피해금액)은 35.9%이며, 피해자 수는 총 13,204명으로 전년(18,265명) 대비 27.7%(△5,061명) 감소

2022-04-19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참고 : https://www.fss.or.kr/fss/bbs/B0000188/view.do?nttId=55444&menuNo=200218&pageIndex=1

금감원 및 사이버수사대를 통해 보이스 피싱의 사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 후 발생 시 대처해야 하는 방법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피해자가 피해금을 계좌이체로 전달했을 경우


가해자가 알려주는 계좌로 피해금을 입금했을 경우, 지급정지 신청을 해야 합니다. 경찰 대표번호 112번으로 신고하거나 은행 콜센터로 전화하여 신청합니다.
만약 은행콜센터를 통해 정지 신청을 먼저 해도, 112 신고 전화는 꼭 해야 합니다.

문제 발생 시 신속히 112 신고 후 경찰서에서 알려주는 대로 지급정지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2. 피해자가 현금을 인출하여 대면 범에게 전달했을 경우


경찰대표번호 112에 신고
금융감독원 1332번으로 신고합니다.

신고 진행 후 결과

 

신고를 위해 경위서를 작성하고 그 경위서를 통한 공문으로 지급정지 신청이 됩니다. 최대한 빠르게 가까운 경찰서에 가서 상황을 설명 및 통화의 녹음, 문자, 증빙자료를 꼭 준비해서 갑니다.

대면 또는 비대면 범에 따라 CCTV 및 계좌를 추적해야 하는 시간이 다수 소요됩니다.
사전에 이러한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미리 사전에 어떤 사례로 발생하는지 잘 확인해보고 피해가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